바다기사단 AI 앱 출시와 함께, 2024 연보 발간

2025-03-26


바다기사단 AI 앱 출시와 함께, 2024 연보 발간!


한국인 ㅣ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연구원 ㅣ glhan@osean.net 



기술과 시민과학이 함께 만든 해양쓰레기 대응의 기록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은 『2024 바다기사단 연보』를 발간하고, 한 해 동안 바다기사단이 이룬 주요 활동과 성과 기록을 공유했다. 본 연보는 스카이나이츠, 아쿠아나이츠, 테라나이츠, 어번나이츠, 열일바다청소 등 다섯 개 분야의 활동을 데이터 기반으로 집계·분석한 결과물로, 총 519명의 시민과학자가 참여한 기록이 담겨 있다.


2024년은 특히 AI 기술을 접목한 쓰레기 자동 인식 앱(어번나이츠AI)의 개발과 출시를 통해, 해양환경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된 해로 평가할 수 있다.



🤖 어번나이츠 AI 앱 개발, 시민과학의 기술 혁신


2024년, 오션은 (주)데브구루와 협력하여 도심 속 쓰레기를 자동 인식하는 ‘어번나이츠 AI 앱’을 개발하고, 12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출시했다. 해당 앱은 스마트폰으로 쓰레기를 촬영하면 AI가 종류와 개수를 자동 판별하는 기능을 갖추었으며, 총 44,000개 이상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사진1. AI어번나이츠 결과 예시>


앱을 통해 시민 누구나 손쉽게 쓰레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입력된 정보는 자동으로 오션클라우드에 연동되어 축적되도록 설계했다. 이는 바다기사단 활동의 접근성을 높이고, 쓰레기 분포에 대한 정량적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했다.


향후 iOS 버전 출시와 함께 데이터셋 확장, 사용자 피드백 반영 등을 통해 앱의 완성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사진2. AI어번나이츠 플레이스토어 화면 및 QR코드>



🧭 전국 활동 확산과 조직 개편


2024년 12월 기준, 오션클라우드를 통해 가입한 바다기사단원은 총 519명으로, 전년 대비 1.5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중 303명이 2024년에 새롭게 가입했으며, 활동 자료는 총 287건(3,197장)이 업로드되었다. 특히 ‘열일바다청소’ 조직은 176건(2,232장)의 자료를 제출해 가장 활발한 참여를 기록했다.


조직 운영 측면에서는, 기존 운영위원회가 운영과 기술 개발을 주도하였던 것에서, 운영은 오션이 전담하고, 운영위원회는 오션의 운영을 지원하며 기술 자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다. 2024년 한 해 동안 총 9회의 기술위원회 회의를 통해 AI 개발, ESG 연계, 오션클라우드 고도화 등을 논의했다.



📊 데이터 기반 활동성과 분석


바다기사단의 활동 데이터는 지역별, 조직별로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 스카이나이츠는 울릉도 등 도서지역 항공조사를 통해 주요 쓰레기 비율을 시각화했고,

  • 아쿠아나이츠는 양양 앞바다에서 수중조사를 실시해 해양생물 피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 테라나이츠와 어번나이츠는 육상 및 도심 쓰레기의 분포와 구성비를 분석해, 하천에서 연안으로 이어지는 쓰레기 이동 경로 파악을 시도했다.

  • 열일바다청소는 총 142명이 참여한 정화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수거량 히트맵과 거리당 쓰레기 밀도 등의 지표를 도출했다.


이러한 분석 자료는 시민과학 기반의 실천을 정책 및 연구로 연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사진3. 바다기단 열일바다청소 분석 히트맵>



🌐 오션클라우드 국제화와 협력 확산


오션클라우드는 2024년 영어 버전을 새롭게 개발해, 해외 시민과학자의 활동 참여 기반을 마련했다. 7월에 열린 EASICO 국제 워크숍(서울)에서는 어번나이츠 AI 앱 시연과 함께, 국제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수렴했다.


또한,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거제대학교 등과 협력을 강화했다.

<사진4. EASICO 워크숍 중 어번나이츠 테스트>



📣 홍보와 시민참여 확대


2024년에는 바다기사단 공식 홍보 영상을 제작해 INC-5 행사 및 국내외 워크숍에서 소개했다.


EASICO 워크숍, 제주·서울 해양쓰레기 자원순환 워크숍 등에서 바다기사단 활동과 AI 기술을 활용한 시민참여 사례를 발표하고 캠페인을 홍보했다.


특히, 11월 19일에 개최된 ‘2024 바다기사단 워크숍’은 해양쓰레기 데이터 기반 대응과 시민과학자 양성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사진5. 2024 바다기사단 워크숍 中>



📘 연보 열람 안내


『2024 바다기사단 연보』는 오션클라우드와 바다기사단 공식 카페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이번 연보는 시민과학, 데이터 분석, 기술 활용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모델로서, 해양쓰레기 대응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오션클라우드 바로가기
🔗 바다기사단 네이버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