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연구 결과 공유
치엘 타 ㅣ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그린허브 ㅣ Chi.ta@greenhub.org.vn
트랑 티티 구엔 ㅣ 공동 설립자 및 부사장, 그린허브 ㅣ trang.nguyen@greenhub.org.vn
응가 에이치 구엔 ㅣ 이사,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 ㅣ huynga2000@gmail.com
투안 앤 트란 ㅣ 연구책임자,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 ㅣ Tuananh96.vmu@gmail.com
번역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장윤정 연구원 ㅣ yoonie.jang@osean.net
식품 용기, 컵, 식기와 같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Single-Use Plastic Products, SUPP)은 버려지기 전에 한번 혹은 단 몇 분만 사용할 의도로 설계되고 판매된다.
오늘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은 널리 사용되며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주요한 위협적 존재로 간주되고 있다. 베트 남에서 하루 평균 환경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약 2,500톤이며, 이 중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연간 28~73만 톤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다.
2018년만 놓고 보았을 때, 베트남에서 3,100만 톤 이상의 생활폐기물과 약 50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 플라스틱은 포장 산업에서 사용되는 재료 중 64%를 차지하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14%만이 일부 영세기업에서 수거되고 재활용된다.2
일상 생활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면 건강에 유해한 성분으로 밝혀진 스티렌, 프탈레이트 및 비스페놀 A와 같은 특정 화학 물질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베트남의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녹색개발지원센터(Centre for Supporting Green Development, GreenHub)는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Center for Health Enviro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HERAD)와 협력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격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제안하여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가 지원하는 “플라스틱 오염을 위한 지역 솔루션(Local Solutions for Plastic Pollution , LSPP)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과 그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단면 기술 연구가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에 부합하게 수행되었다.
(목표1)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을 평가
(목표2)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제안
이 연구는 일련의 설문조사 질문을 통해 베트남 전역의 51개 주 혹은 도시에 거주 중인 525명의 응답자의 정량적 데이터와 심층 인터뷰(n=6) 및 그룹 토론 세션(n=12)을 통한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 격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525명의 응답자 중 대부분(87.6%)이 플라스틱이 분해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답했다. 대다수의 설문조사 응답자는 인간 뿐만 아니라 육상 동물, 바다 동물, 새와 같은 다른 종도 모두 일회용 제품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잘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아마도 지금까지 시행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에는 오답이 현저히 많았다. 응답자의 거의 절반이 플라스틱이 심혈관, 생식 건강 및 신경계와 같은 인간 장기 시스템에 특정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는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프로그램이 주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의지와 직면한 도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필수지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설문에 응한 거의 모든 사람들은 놀랍게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교체함으로써 소비 습관을 기꺼이 바꿀 의향이 있었다. 즉, 설문 응답자의 98.5%가 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교체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의 비율(n=525)
이것은 일반적으로, 변화에 대해 사람들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이다. 교체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4.4%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때 직면할 수 있는 건강상의 위험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40.8%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고 답했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응답자들이 대체 제품에 대한 긍정 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그러한 제품의 품질 과 편의성에 대해 의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교체하고자 하는 이유 (n=525)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안전하지 않은 습관
거의 모든 응답자가 일회용 플라스틱을 자주 또는 가끔 사용한다고 말했다(각각 47.5%, 52.3%). 이러한 결과는 특히 COVID-19 동안 현대인들의 삶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역할을 고려할 때 상당히 예측 가능하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 중에서 나일론 가방이 응답자(88.8%)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제품 이었다.
또한 차가운 음식과 음료를 보관하고, 음식을 냉장고에 보관하고, 색이 있는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음식을 보관하는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안전하지 않은 습관도 만연해 있었다(각각 81.1%, 78.2%, 60.6%). 이것은 사람들이 낮은 온도를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안전한 사용과 연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사실 이러한 행동은 뜨거운 음식을 저장하는 것만큼 위험할 수 있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종류 (n=525)
제안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및 활동
효과적인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춘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교육하는 것을 추천한다.
1)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기호의 의미
2)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안전한 방법
3) 쓰레기를 적절하게 분류하고 재활용하는 방법
또한 제공된 정보는 합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검색해야 하며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도구도 각 대상 그룹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정책 옹호와 권장 사항
오늘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확장된 생산자 책임 재활용(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정책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어 수거, 배출 감소 및 재활용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이러한 절차로 정부 예산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고품질 2차 원료 및 시장 개발에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자원 안보를 보장하고 순환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를 발전시켰다.
베트남의 경우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정책이 가능한 한 빨리 시행되어야 하며 소비자 선호도, 플라스틱 대체품의 가용성과 환경적 영향, 대체 제품의 경쟁력과 기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고 대체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정책도 장려되어야 한다. 베트남에서는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정책이 발표되어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의 발표로 플라스틱 폐기물,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수거되고 재활용되어 환경으로 플라스틱 유입이 감소되기를 바란다.
1 Jambeck, J. R., Geyer, R., Wilcox, C., Siegler, T. R., Perryman, M., Andrady, A., Narayan, R., & Law, K. L. (2015).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 into the ocean.
Science, 347(6223), 768–771. https://doi.org/10.1126/science.1260352
2 MONRE (2019). National Environmental Status Report 2019. Retrieved April 2022 from:
http://dwrm.gov.vn/uploads/news/2020_11/bao-cao-hien-trang-moi-truong-2019.pdf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연구 결과 공유
치엘 타 ㅣ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그린허브 ㅣ Chi.ta@greenhub.org.vn
트랑 티티 구엔 ㅣ 공동 설립자 및 부사장, 그린허브 ㅣ trang.nguyen@greenhub.org.vn
응가 에이치 구엔 ㅣ 이사,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 ㅣ huynga2000@gmail.com
투안 앤 트란 ㅣ 연구책임자,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 ㅣ Tuananh96.vmu@gmail.com
번역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장윤정 연구원 ㅣ yoonie.jang@osean.net
식품 용기, 컵, 식기와 같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Single-Use Plastic Products, SUPP)은 버려지기 전에 한번 혹은 단 몇 분만 사용할 의도로 설계되고 판매된다.
오늘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은 널리 사용되며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주요한 위협적 존재로 간주되고 있다. 베트 남에서 하루 평균 환경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약 2,500톤이며, 이 중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연간 28~73만 톤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다.
2018년만 놓고 보았을 때, 베트남에서 3,100만 톤 이상의 생활폐기물과 약 50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 플라스틱은 포장 산업에서 사용되는 재료 중 64%를 차지하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14%만이 일부 영세기업에서 수거되고 재활용된다.2
일상 생활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면 건강에 유해한 성분으로 밝혀진 스티렌, 프탈레이트 및 비스페놀 A와 같은 특정 화학 물질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베트남의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녹색개발지원센터(Centre for Supporting Green Development, GreenHub)는 보건환경연구개발센터(Center for Health Enviro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HERAD)와 협력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격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제안하여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가 지원하는 “플라스틱 오염을 위한 지역 솔루션(Local Solutions for Plastic Pollution , LSPP)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과 그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단면 기술 연구가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에 부합하게 수행되었다.
(목표1)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을 평가
(목표2)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제안
이 연구는 일련의 설문조사 질문을 통해 베트남 전역의 51개 주 혹은 도시에 거주 중인 525명의 응답자의 정량적 데이터와 심층 인터뷰(n=6) 및 그룹 토론 세션(n=12)을 통한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 격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525명의 응답자 중 대부분(87.6%)이 플라스틱이 분해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답했다. 대다수의 설문조사 응답자는 인간 뿐만 아니라 육상 동물, 바다 동물, 새와 같은 다른 종도 모두 일회용 제품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잘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아마도 지금까지 시행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에는 오답이 현저히 많았다. 응답자의 거의 절반이 플라스틱이 심혈관, 생식 건강 및 신경계와 같은 인간 장기 시스템에 특정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는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프로그램이 주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의지와 직면한 도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필수지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설문에 응한 거의 모든 사람들은 놀랍게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교체함으로써 소비 습관을 기꺼이 바꿀 의향이 있었다. 즉, 설문 응답자의 98.5%가 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교체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의 비율(n=525)
이것은 일반적으로, 변화에 대해 사람들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이다. 교체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4.4%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때 직면할 수 있는 건강상의 위험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40.8%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고 답했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응답자들이 대체 제품에 대한 긍정 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그러한 제품의 품질 과 편의성에 대해 의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교체하고자 하는 이유 (n=525)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안전하지 않은 습관
거의 모든 응답자가 일회용 플라스틱을 자주 또는 가끔 사용한다고 말했다(각각 47.5%, 52.3%). 이러한 결과는 특히 COVID-19 동안 현대인들의 삶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역할을 고려할 때 상당히 예측 가능하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 중에서 나일론 가방이 응답자(88.8%)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제품 이었다.
또한 차가운 음식과 음료를 보관하고, 음식을 냉장고에 보관하고, 색이 있는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음식을 보관하는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안전하지 않은 습관도 만연해 있었다(각각 81.1%, 78.2%, 60.6%). 이것은 사람들이 낮은 온도를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안전한 사용과 연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사실 이러한 행동은 뜨거운 음식을 저장하는 것만큼 위험할 수 있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종류 (n=525)
제안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및 활동
효과적인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춘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교육하는 것을 추천한다.
1)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기호의 의미
2)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안전한 방법
3) 쓰레기를 적절하게 분류하고 재활용하는 방법
또한 제공된 정보는 합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검색해야 하며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도구도 각 대상 그룹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정책 옹호와 권장 사항
오늘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확장된 생산자 책임 재활용(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정책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어 수거, 배출 감소 및 재활용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이러한 절차로 정부 예산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고품질 2차 원료 및 시장 개발에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자원 안보를 보장하고 순환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를 발전시켰다.
베트남의 경우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정책이 가능한 한 빨리 시행되어야 하며 소비자 선호도, 플라스틱 대체품의 가용성과 환경적 영향, 대체 제품의 경쟁력과 기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고 대체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정책도 장려되어야 한다. 베트남에서는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정책이 발표되어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의 발표로 플라스틱 폐기물,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수거되고 재활용되어 환경으로 플라스틱 유입이 감소되기를 바란다.
1 Jambeck, J. R., Geyer, R., Wilcox, C., Siegler, T. R., Perryman, M., Andrady, A., Narayan, R., & Law, K. L. (2015).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 into the ocean.
Science, 347(6223), 768–771. https://doi.org/10.1126/science.1260352
2 MONRE (2019). National Environmental Status Report 2019. Retrieved April 2022 from:
http://dwrm.gov.vn/uploads/news/2020_11/bao-cao-hien-trang-moi-truong-201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