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 어업에서 유실된 장어통발 유도구가 멸종위기종 하와이 몽크 물범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2-06-30

북태평양 어업에서 유실된 장어통발 유도구가 

멸종위기종 하와이 몽크 물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칼 버그 ㅣ 서프라이더 재단 카우아이 지부 박사 ㅣ cberg@pixi.com
로렌 블리클리 ㅣ 서프라이더 재단 하와이 지역 매니저 ㅣ lblickley@surfrider.org
셰릴 킹 ㅣ 장어통발 프로젝트 자문 ㅣ sharkastics@gmail.com
번역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김여훈 선임연구원 ㅣ yhkim@osean.net




잃어버리거나 버려진 폐어구는 하와이의 해양과 연안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러나 폐어구는 이것이 분포하는 광범위한 범위과 기원지 추적의 어려움 때문에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하와이 해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해양쓰레기는 고깔 모양의 통발 유도구이다. 이것은 북미 태평양 해역의 먹장어(Eptatretus stoutii, E. deani),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등 동아시아 인근의 먹장어(E. burgeri) 그리고 붕장어(Conger myriaster)를 어획하 는데 사용하는 어구이다(그림 1).1,2

▲ 그림 1. 각 부분 명칭을 포함한 장어통발 유도구의 사진


장어통발 폐어구는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오염 팬데믹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인 하와이 몽크 물범(Neomonachus schauinslandi) 과 같은 해양 생물에게도 피해를 주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해양대기 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멸종위기에 처한 하와이 몽크 물범의 새 끼 13마리와 1년생의 주둥이에서 장어통발 유도구를 제거했다고 보 고했다(그림 2).


▲ 그림 2. 주둥이에 장어통발 유도구가 낀 하와이 몽크 물범의 새끼

(사진: NOAA, Pacific Islands Fisheries Science Center, Honolulu. Permit #848-1695)


물범에게서 제거한 이 유도구들은 하와이 섬의 북서쪽을 에워싸고 있는 파파하노모쿠아키 해양 국립 기념물에서 온 것이다. 장어통발 유도구를 제거하지 않으면, 유도구는 물범의 주둥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물범이 먹이를 먹을 수 없어 죽음에 이르게 된다.3


▲ 그림 3. 장어통발 페어구 정보에 대한 서프라이더 재단의 다국적 요청


2021년, 서프라이더 재단은 유실되거나 버려진 장어통발 폐어구의 개수를 줄이고, 이로 인한 하와이 몽크 물범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북 태평양 장어 통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 프라이더 재단은 북태평양 전역에서 대중의 인식 증진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원들에게는 해안에서 발견되는 장어통발 유도구가 다시 바다로 들어가거나, 북태평양 환류를 통해 하와이 근처를 떠다니거나, 몽크 물범의 새끼에게 더 피해를 주지 않도록 이들을 수집하고 수거하는 일이 권장된다(그림 3). 서프라이더 재단은 개개인에게 수거 과정에서 수거한 장어통발 유도구의 사진 촬영을 요청했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들을 hagfish@surfrider.org로 보내고 시민과학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함에 따라 서프라이더 재단 은 하와이 해안에서 수거한 장어통발 폐어구를 식별하고 각기 다른 유형의 장어통발 유도구들을 나열할 수 있었다.


▲ 그림 4. 직접 분류와 AI 그룹화에 사용된 장어통발 유도구의 디지털 사진


이 프로그램이 진행된 1년 동안 서프라이더 재단은 비정부 기구와 지역사회 봉사자들과 합심하여 하와이 주 섬과 미국 해안에서 7,500개가 넘는 장어통발 유도구를 수거했다고 보고하였다. 수백개의 장어통발 유도구는 크기, 구 멍 모양, 입구 둘레의 표시와 글씨 등을 토대로 그룹화하여 직접 분류하였다. 7,480개의 장어통발 유도구 쓰레기 중 26.8%만 유도구 전체로 발견되었고, 45.8%는 유도구의 몸통 부분(Cone), 나머지 13.2%는 손가락 모양의 유 도구 살 부분(Funnel)이었다. 카우아이섬의 유도구 시료 812개 중에서 87.9%는 유도구 입구 둘레(Flange)가 약 12.7 cm였고 7.3%는 11.4 cm, 그리고 4.8%가 13.3 cm이거나 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도구의 7가지 특징을 토대로 표준화된 디지털 사진을 통해 추가적인 분류도 수행되었다(그림 4).

추가 분류 작업은 하와이 전역에서 수집된 수 천장의 사진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그룹화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모양의 유도구의 상대적인 풍부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더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직접분류와 사진 분류를 통한 선행 분석 결과, 모든 모양의 유도구가 동일한 풍부도를 보이지 않고, 특정 모양을 가진 유도구들이 전체 풍부도의 5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5).



▲ 그림 5. 장어통발 유도구 61개 유형의 상대 풍부도. 오렌지색 그래프는 직접 분류, 파란색 그래프는 그림4처럼 디지털 사진으로 분류한 결과로

X축은 장어통발 유형 번호이고 Y축은 분류 표본에서 각 유형의 퍼센트를 의미한다.


부서지지 않은 장어통발 유도구 입구 5,286개 시료를 면밀하게 조사했으나 이 중 8%만이 둘레에 글씨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어떤 나라에서 장어통발 유도구를 가장 많이 만들고 사용하는지는 알 수 없다. 장어통발 유도구 중 1개에서 “Made in Korea”, 126개에서 한글이 적인 회사의 이름들을 확인하였다. 글씨가 적힌 유도구 중 62.8%가 영진, 18.2%가 유일로 확인되었으며, 이 회사들의 이름은 해안에서 수거한 유도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이 유도구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유도구인지, 분해와 유실 때문에 해변에서 수거한 표본 중 불균형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우리의 목표는 동아시아와 북미 전역의 해양쓰레기 전문가와 협업하여 각 나라의 해안에서 장어통발 유도구를 수거하고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형을 식별하고, 어디에서, 어떻게 장어통발 유도구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유실과 투기를 통해 유도구가 바다로 들어가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북태평양 지역의 노력을 지원할 것이다. 유도구 디자인과 어획 방법의 개선은 유도구의 몸통과 살이 분리되어 몽크 물범의 주둥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분해성 유도구 사용은 폐어구의 유령어업을 막아 어획과 몽크 물범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 Ki, S. U., Park, C. K., Lee, K. W., Lee, K. S., Park, J. T., & Lee, W. K. (2021). Ovarian Development of Conger Eel in Korea, Conger myriaster, in Captivity. Development & reproduction, 25(4), 269–277. https://doi.org/10.12717/DR.2021.25.4.269
2 Park, C. D. "Conger-eel fisheries in Korea." Nippon Suisan Gakkaishi 67 (2001): 127-128
3 Thea Johanos, (2021) Hawaiian Monk Seal Entanglements in Hagfish Trap Cones, 2000–2020.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Pacific Islands Fisheries Science Center, Internal Report IR-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