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해양 환경의 미세플라스틱
Aditya Kapil Valiveti ㅣ 해양 수족관 및 지역 센터 (벵칼, 인도) 연구원 ㅣ aditya.valiveti@gmail.com
번역: 앨리시아 로 ㅣ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연구원 ㅣ lohalicia@osean.net
원문 Valiveti, A.K (2023) Current status and updates of Microplastics in Indian Marine Environment, Marine Litter News from Asia Pacific Civil Forum on Marine Litter, Our Sea of East Asia Network, Vol. 15(1): pp.21-23, Tongyeong, South Korea.
|
오늘날 플라스틱은 가볍고 내구성이 있으며 저렴하면서 반응성이 없는 특성으로 우리 일상 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자연에서 쉽게 생분해되지 않는다. 종류에 따라 플라스틱은 분해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며 이는 위험한 플라스틱에 의한 해로운 영향이 미래 세대에게 지속됨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은 현대 생활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 있으며, 지구 전역에서 심해(챌린저 딥; Challenger Deep) 와 높은 고도(에베레스트 산; Mount Everest)에까지 스며들게 되었다.
인구 14억 명을 가진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이다.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소비와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는 플라스틱 폐기물 생산에 큰 기여자가 되었으며 그것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인도 플라스틱 산업은 생산, 소비 및 수출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 수치는 다음 4-5년 동안 세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인구 증가와 플라스틱에 대한 의존으로 인해 인도는 수십 년에 걸친 폐기물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매년 인도는 34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생산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은 매립지를 채우나 수환경으로 흘러들어가 결국 바다로 향하게 된다2.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서 47%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수거되지 않거나 미관리 쓰레기에 해당하고, 36%는 매립지에서 처분되었다3. 인도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주요한 기여자는 패스트 무빙 컨슈머 굿즈(Fast moving consumer goods; FMCG) 부문이다. 이 부문은 빨대, 컵, 접시, 음식 포장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기반 식품 용기 및 음료 병을 포함한다. 더구나 일회용 플라스틱은 전국적으로 쓰레기 투기장과 쓰레기 핫스팟 폐기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는 2016년에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규정을 시행 하였으며, 2018년과 2021년에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2022년 7월부터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포함한 일회용 플라스틱의 제조, 수입, 보관, 유통, 판매 및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일회용 경량 폴리백(polybag)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두께에 대한 규정을 50마이크론에서 75-120 마이크론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스와치 바라드 미션(인도 청소 캠페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책 결정자들은 전국적으로 플라그틱 폐기물 관리 규정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폐기물 관리 인프라를 강화하였다. 관련 기관에 의해 특별 검사팀을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을 없애는 노력을 하고 있다4.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양은 지난 3년 동안 거의 2배로 증가했으며, 매년 플라스틱 폐기물 중 30%만 재활용되고 있다2.
미세플라스틱은 5mm 미만의 입자로, 글로벌 환경오염물질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이제 오존층 소멸, 기후 변화 및 해양 산성화와 함께 4대 환경 위험 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1차 미세플라스틱은 화장품, 세제, 섬유 원단 및 다양한 제약부문에서 유래한 플라스틱 구슬, 펠렛, 섬유, 필름, 과립 및 분말 등을 포함한다. 반면에 2차 미세플라스틱은 자연환경에서 더 큰 플라스틱 물질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작게 쪼개져 생성되며 특히 자외선 광분해를 통해 형성된다5. 이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은 자연의 모든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쉽게 섭취되고 축적될 수 있어 인간, 해조류 및 모든 수생 및 육상 동물의 건강에 잠재적인 위협 요소가 되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인간의 혈액6 및 모유7에서도 발견되었다. 더 나아가 해양의 미세플라스틱은 다양한 해양 생물에 의해 소비되며 다양한 출처를 통해 식량 사슬로 들어가 결국 전 세계의 식탁에 오르게 된다.
인도는 해양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광범위한 연안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생태계는 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을 겪고 있다. 투구게(Horseshoe crab), 바다거북, 해파리, 소라게(hermit crab) 및 기타 생물들은 인도 해안선에 버려진 어망에 자주 얽히는 것으로 보인다(그림1). 더욱이 표착선을 따라 쓰레기가 쌓이면 해변의 평온함을 방해하고 해양 생물의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그림2).

▲ 그림 1. 타즈푸로 해변에서 버려진 해안 그물에 얽힌 해양 생물들

▲ 그림 2. 탈라사리 해변에서 해양 생물과 해안 쓰레기와의 상호작용
우리는 동쪽 인도의 서부 벵갈 주의 화려한 연안 마을이자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인 디가(Digha)의 바다수족관 및 지역 센터 소속이며 디가 연안의 해양폐기물을 청소하기 위한 정부 정책을 실시하는 데 헌신하고 있다. ‘미션 라이프 인식 증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는 해변 주변의 시장 지역에서 집회를 조직하여 지역 연안 판매업자, 호텔 및 레스토랑 직원들에게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피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그림3). 또한 우리는 지역 학술 기관과 협력하여 디가 연안의 해안을 따라 ‘해변 청소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그림4). 또한 해양 동물 탐험을 통해 버려진 그물에 끼인 해양 생물을 구조하고 바다로 다시 풀어주고 있다(그림5).

▲ 그림 3. 오래된 디가 해변에서 ‘미션 라이프 인식 프로그램’ 중 해안 판매업자와의 상호작용

▲ 그림 4. 디가의 모하나 해변에서 열린 연안 청소의 날 행사

▲ 그림 5. 스바르나레카 섬에서 해양쓰레기에 얽힌 말괄량이 게 구조
결론적으로 플라스틱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현재 단계에서는 불가능하며 이는 많은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지역단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불가역적인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확산을 통제할 수 있는 엄격한 규범과 규정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규제하려면 법과 정책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위반 시 강력한 처벌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정책 결정자는 폐기물 관리 인프라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 인센티브와 세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정책 결정자가 수립한 법률, 정책 및 규정과는 상관없이 환경에 대한 개인의 상식을 발휘하고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유지하며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1 https://www.indiantradeportal.in/vs.jsp?lang=0&id=0,31,24100,24115
2 NNOVATION IN PLASTICS The Potential and Possibilities. A report by Marico Innovation Foundation.
3 https://www.oecd-ilibrary.org/environment/data/global-plastic-outlook_c0821f81-en
4 Swachh Bharat Mission (Urban) Plastic Waste Management Issues, Solutions and Case Studies. A report by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 Affairs, Govt. of India.
5 Makhdoumi, P., Hossini, H., Pirsaheb, M. (2023). A review of microplastic pollution in commercial fish for human consumption. 2023, Reviews in Environmental Health, 38(1), 97-109.
6 Lesile, H. A., van Velzen, M, J, M., Brandsma, S. H., Vethaak, A. D., Garcia-Vallejo, J, J., Lamoree, M, H. (2022). Discovery and quantification of plastic particle pollution in human blood. Environment International, 163, 107199.
7 Ragusa, A., Notarstefano, V., Svelato, A., Belloni, A., Gioacchini, G., Blondeel, C. et. al. (2022). Raman Microspectroscop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plastics in Human Breastmilk. Polymers (Basel), 14(13), 2700.
8 Vaid, M., Mehra, K., Gupta, A. (2021). Microplastics as contaminants in Indian environment: a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8, 68025-68052.
인도 해양 환경의 미세플라스틱
Aditya Kapil Valiveti ㅣ 해양 수족관 및 지역 센터 (벵칼, 인도) 연구원 ㅣ aditya.valiveti@gmail.com
번역: 앨리시아 로 ㅣ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연구원 ㅣ lohalicia@osean.net
Valiveti, A.K (2023) Current status and updates of Microplastics in Indian Marine Environment, Marine Litter News from Asia Pacific Civil Forum on Marine Litter, Our Sea of East Asia Network, Vol. 15(1): pp.21-23, Tongyeong, South Korea.
오늘날 플라스틱은 가볍고 내구성이 있으며 저렴하면서 반응성이 없는 특성으로 우리 일상 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자연에서 쉽게 생분해되지 않는다. 종류에 따라 플라스틱은 분해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며 이는 위험한 플라스틱에 의한 해로운 영향이 미래 세대에게 지속됨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은 현대 생활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 있으며, 지구 전역에서 심해(챌린저 딥; Challenger Deep) 와 높은 고도(에베레스트 산; Mount Everest)에까지 스며들게 되었다.
인구 14억 명을 가진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이다.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소비와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는 플라스틱 폐기물 생산에 큰 기여자가 되었으며 그것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인도 플라스틱 산업은 생산, 소비 및 수출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 수치는 다음 4-5년 동안 세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인구 증가와 플라스틱에 대한 의존으로 인해 인도는 수십 년에 걸친 폐기물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매년 인도는 34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생산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은 매립지를 채우나 수환경으로 흘러들어가 결국 바다로 향하게 된다2.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서 47%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수거되지 않거나 미관리 쓰레기에 해당하고, 36%는 매립지에서 처분되었다3. 인도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주요한 기여자는 패스트 무빙 컨슈머 굿즈(Fast moving consumer goods; FMCG) 부문이다. 이 부문은 빨대, 컵, 접시, 음식 포장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기반 식품 용기 및 음료 병을 포함한다. 더구나 일회용 플라스틱은 전국적으로 쓰레기 투기장과 쓰레기 핫스팟 폐기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는 2016년에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규정을 시행 하였으며, 2018년과 2021년에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2022년 7월부터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포함한 일회용 플라스틱의 제조, 수입, 보관, 유통, 판매 및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일회용 경량 폴리백(polybag)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두께에 대한 규정을 50마이크론에서 75-120 마이크론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스와치 바라드 미션(인도 청소 캠페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책 결정자들은 전국적으로 플라그틱 폐기물 관리 규정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폐기물 관리 인프라를 강화하였다. 관련 기관에 의해 특별 검사팀을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을 없애는 노력을 하고 있다4.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양은 지난 3년 동안 거의 2배로 증가했으며, 매년 플라스틱 폐기물 중 30%만 재활용되고 있다2.
미세플라스틱은 5mm 미만의 입자로, 글로벌 환경오염물질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이제 오존층 소멸, 기후 변화 및 해양 산성화와 함께 4대 환경 위험 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1차 미세플라스틱은 화장품, 세제, 섬유 원단 및 다양한 제약부문에서 유래한 플라스틱 구슬, 펠렛, 섬유, 필름, 과립 및 분말 등을 포함한다. 반면에 2차 미세플라스틱은 자연환경에서 더 큰 플라스틱 물질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작게 쪼개져 생성되며 특히 자외선 광분해를 통해 형성된다5. 이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은 자연의 모든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쉽게 섭취되고 축적될 수 있어 인간, 해조류 및 모든 수생 및 육상 동물의 건강에 잠재적인 위협 요소가 되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인간의 혈액6 및 모유7에서도 발견되었다. 더 나아가 해양의 미세플라스틱은 다양한 해양 생물에 의해 소비되며 다양한 출처를 통해 식량 사슬로 들어가 결국 전 세계의 식탁에 오르게 된다.
인도는 해양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광범위한 연안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생태계는 플라스틱 오염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을 겪고 있다. 투구게(Horseshoe crab), 바다거북, 해파리, 소라게(hermit crab) 및 기타 생물들은 인도 해안선에 버려진 어망에 자주 얽히는 것으로 보인다(그림1). 더욱이 표착선을 따라 쓰레기가 쌓이면 해변의 평온함을 방해하고 해양 생물의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그림2).
▲ 그림 1. 타즈푸로 해변에서 버려진 해안 그물에 얽힌 해양 생물들
▲ 그림 2. 탈라사리 해변에서 해양 생물과 해안 쓰레기와의 상호작용
우리는 동쪽 인도의 서부 벵갈 주의 화려한 연안 마을이자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인 디가(Digha)의 바다수족관 및 지역 센터 소속이며 디가 연안의 해양폐기물을 청소하기 위한 정부 정책을 실시하는 데 헌신하고 있다. ‘미션 라이프 인식 증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는 해변 주변의 시장 지역에서 집회를 조직하여 지역 연안 판매업자, 호텔 및 레스토랑 직원들에게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피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그림3). 또한 우리는 지역 학술 기관과 협력하여 디가 연안의 해안을 따라 ‘해변 청소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그림4). 또한 해양 동물 탐험을 통해 버려진 그물에 끼인 해양 생물을 구조하고 바다로 다시 풀어주고 있다(그림5).
▲ 그림 3. 오래된 디가 해변에서 ‘미션 라이프 인식 프로그램’ 중 해안 판매업자와의 상호작용
▲ 그림 4. 디가의 모하나 해변에서 열린 연안 청소의 날 행사
▲ 그림 5. 스바르나레카 섬에서 해양쓰레기에 얽힌 말괄량이 게 구조
결론적으로 플라스틱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현재 단계에서는 불가능하며 이는 많은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지역단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불가역적인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확산을 통제할 수 있는 엄격한 규범과 규정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규제하려면 법과 정책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위반 시 강력한 처벌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정책 결정자는 폐기물 관리 인프라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 인센티브와 세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정책 결정자가 수립한 법률, 정책 및 규정과는 상관없이 환경에 대한 개인의 상식을 발휘하고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유지하며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1 https://www.indiantradeportal.in/vs.jsp?lang=0&id=0,31,24100,24115
2 NNOVATION IN PLASTICS The Potential and Possibilities. A report by Marico Innovation Foundation.
3 https://www.oecd-ilibrary.org/environment/data/global-plastic-outlook_c0821f81-en
4 Swachh Bharat Mission (Urban) Plastic Waste Management Issues, Solutions and Case Studies. A report by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 Affairs, Govt. of India.
5 Makhdoumi, P., Hossini, H., Pirsaheb, M. (2023). A review of microplastic pollution in commercial fish for human consumption. 2023, Reviews in Environmental Health, 38(1), 97-109.
6 Lesile, H. A., van Velzen, M, J, M., Brandsma, S. H., Vethaak, A. D., Garcia-Vallejo, J, J., Lamoree, M, H. (2022). Discovery and quantification of plastic particle pollution in human blood. Environment International, 163, 107199.
7 Ragusa, A., Notarstefano, V., Svelato, A., Belloni, A., Gioacchini, G., Blondeel, C. et. al. (2022). Raman Microspectroscop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plastics in Human Breastmilk. Polymers (Basel), 14(13), 2700.
8 Vaid, M., Mehra, K., Gupta, A. (2021). Microplastics as contaminants in Indian environment: a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8, 68025-68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