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해안쓰레기 오염의 종류와 양: 시민과학을 이용한 12년간의 전국 평가
대만의 해안쓰레기 오염의 종류와 양: 시민과학을 이용한 12년간의 전국 평가
2018년 12월 18일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이종수
2018년 11월 20일 제312회 오션 정기세미나에서는 12년간의 대만 국제연안정화의 결과를 발표한 논문을 다루었다
<원문>
Bruno A. Walther, Alexander Kunz, Chieh-Shen Hu, (2018). Type and quantity of coastal debris pollution in Taiwan: A 12-year nationwide assessment using citizen science data). Marine Pollution Bulletin 135:862-872.
<요약>
인공기인 해양쓰레기는 대만에서 점점 심각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2004년, 대만의 환경단체들은 정화활동을 통해 수거된 19개 항목의 쓰레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2004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 541회의 연안정화 활동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쓰레기는 904,302개였으며, 무게는 131,358.3kg였다. 그 중 63.6%가 플라스틱이었으며, 27.2%가 플라스틱 혼합재질이었다. 가장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플라스틱 쇼핑 봉투였고, 플라스틱 뚜껑, 일회용 식사도구, 낚시용품, 플라스틱 빨대가 그 뒤를 이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대만의 연안정화 활동 데이터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 활동의 이전 데이터를 통해 개선된 정책을 소개하였다.
<주요 내용>
플라스틱 오염에 대해 대만 대중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1) 대만의 해안에서 인공기인 해양쓰레기 오염이 재앙 수준에 이르렀다. 2) 사람들의 식재료의 많은 비율이 해산물이다. 하지만 이 문제의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단지 세 편의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을 뿐이며, 이 논문들도 대만 전 해안을 포괄하고 있지는 않다. 해양쓰레기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대만의 환경단체들은 2000년 초반부터 연안 정화와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2008년부터 연안정화 활동을 조직하기 시작한 황야보존회는 해안의 오염을 줄이고, 대중을 교육하며, 쓰레기의 수, 양, 조성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러한 활동에 주력한 다른 이유중 하나는 대만의 대중이 환경 문제에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시작 초기부터 데이터 수집에 노력을 기울였는데 이는 쓰레기 발생원을 파악하고 이를 감축시키기 위해 정부를 압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활동은 시민과학을 통해 정화 활동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대만 전역 해안이라는 광범위한 범위를 포괄할 수 있었다는 특징이 있다.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된 12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61,639명의 봉사자가 참가하였으며 총 수거된 쓰레기 수는 904,302개, 무게는 131,358kg였다. 정화활동 참여자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났으며, 수거되는 쓰레기의 무게도 증가하였다. 쓰레기 무게나 각각의 쓰레기 수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로는 참여자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플라스틱 쇼핑 봉투였고, 그 다음으로는 플라스틱 뚜껑, 일회용 식사도구, 낚시용품, 플라스틱 빨대 순이었다. 그 중 63.6%가 플라스틱이었으며, 27.2%가 플라스틱 혼합재질이어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은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 관련 쓰레기는 14.8%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일으키는 생물피해를 고려하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이 쓰레기에 집중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쓰레기 조성의 시기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쓰레기 항목의 대부분이 환경과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플라스틱 주사기나 금속 바늘 같은 쓰레기들은 특히 염려스러운 것들이다. 이것들은 농장에서 수의학적 목적으로 쓰인 것들로 나타나 더 많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대만에서 나타난 쓰레기의 밀도는 일본의 데이터나 대만 환경청의 데이터와 비교할 만하다는 점에서 시민과학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이 우리가 인정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과도(또는 과소)하게 측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려할 사항은 해양의 물리적 특성이다. 파도나 조류는 쓰레기를 해안에 밀려오게 하며, 이 쓰레기들은 연안정화 활동과 같은 수거로 치워지는 쓰레기를 메꾸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데이터 수집에 포함되지 않은 수거 활동, 묻힌 쓰레기 등을 고려하면 대만의 해안에 현존하는 쓰레기는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요약하면 이 논문의 데이터 분석은 몇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만 해안의 해양쓰레기의 양을 제시하는 가장 좋은 데이터라 할 수 있다.
<토의 사항>
연안정화 데이터 카드를 썼기 때문에 쓰레기 항목 분류가 자세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는 시민과학을 이용한 조사에서 장점이 될 수 있다.
국제연안정화를 통한 데이터 수집의 장단점을 드러낸 좋은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