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s a North Pacific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ocean plastic pollution
: A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shorelines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북태평양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 해안선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권장 사항
Amy V. Uhrin*, Sunwook Hong, Hillary K. Burgess, Sehan Lim , Kyle Dettloff
ABSTRACT
Keywords: Marine debris, Plastic pollution, Shoreline monitoring, North pacific ocean, PICES
Increased organized monitoring is key to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marine debris on shorelines. Shorelines are demonstrated sinks for marine debris but efforts to quantify debris often fail to capture and report core variables and survey design techniques necessary to ensure study repeatability, comparability and to provide meaningful results. Here, we systematically review the available literature regarding marine debris distribution and abundance on shorelines of countries bordering the North Pacific Ocean (NPO), which are demonstrated to have unusually high marine debris abundance and diversity both at the ocean surface and stranded on shorelines. The majority of the 81 papers documenting shoreline debris in the NPO were studies that took place for less than one year (76.5%). Additionally, most sampling sites were visited only once (57.3%). Precise site locations (GPS coordinates) were provided in only 44.4% of the evaluated studies. Debris quantities were reported using nine different measurement units, with item counts per area and item counts per mass being most commonly reported for macro- and microplastics, respectively. Taken together,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could not be repeated by others given the information provided. We propose a series of guidelines with regard to marine debris shoreline sampling metrics, indicators, methods, and target goals in the NPO in order to improve comparability and repeatability. These follow the basic tenets of environmental survey design, which when not accounted for, can limit the applicability and value of large-scale shoreline monitoring efforts.
초록
체계화된 모니터링 조사를 강화하는 것은 해안가에 있는 해양 쓰레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해안선은 해양 쓰레기의 싱크를 보여주지만, 쓰레기를 수량화 하려는 노력은 연구 반복성, 비교 가능성을 보장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핵심 변수와 조사 설계 기술을 포착하고 보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해양 표면과 해안선에 좌초된 해양 쓰레기의 종류와 다양성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입증된 북태평양(NPO) 접경 국가의 해안선에 대한 해양 쓰레기 분포 및 종류에 관한 이용 가능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합니다. 북태평양의 해안선 잔해를 기록한 81편의 논문 대부분이 1년 미만의 연구(76.5%)였다. 또한 대부분의 샘플링 사이트는 한 번만 방문했습니다(57.3%). 정확한 사이트 위치(GPS 좌표)는 평가된 연구의 44.4%에서만 제공되었습니다. 쓰레기 양은 9가지 다른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보고되었으며, 면적당 품목 수와 질량당 품목 수는 각각 매크로 및 미세 플라스틱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종합하면, 대부분의 검토된 연구는 제공된 정보가 주어지면 다른 사람들이 반복해 볼 수 없습니다. 우리는 비교 가능성과 반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북태평양에서 해양 쓰레기 해안선 샘플링, 지표, 방법 및 목표 목표와 관련된 일련의 지침을 제안합니다. 이는 환경 조사 설계의 기본 원칙을 따르며,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대규모 해안선 모니터링 노력의 적용 가능성과 가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https://doi.org/10.1016/j.envpol.2022.119862
Towards a North Pacific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ocean plastic pollution
: A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shorelines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북태평양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 해안선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권장 사항
Amy V. Uhrin*, Sunwook Hong, Hillary K. Burgess, Sehan Lim , Kyle Dettloff
ABSTRACT
Keywords: Marine debris, Plastic pollution, Shoreline monitoring, North pacific ocean, PICES
Increased organized monitoring is key to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marine debris on shorelines. Shorelines are demonstrated sinks for marine debris but efforts to quantify debris often fail to capture and report core variables and survey design techniques necessary to ensure study repeatability, comparability and to provide meaningful results. Here, we systematically review the available literature regarding marine debris distribution and abundance on shorelines of countries bordering the North Pacific Ocean (NPO), which are demonstrated to have unusually high marine debris abundance and diversity both at the ocean surface and stranded on shorelines. The majority of the 81 papers documenting shoreline debris in the NPO were studies that took place for less than one year (76.5%). Additionally, most sampling sites were visited only once (57.3%). Precise site locations (GPS coordinates) were provided in only 44.4% of the evaluated studies. Debris quantities were reported using nine different measurement units, with item counts per area and item counts per mass being most commonly reported for macro- and microplastics, respectively. Taken together,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could not be repeated by others given the information provided. We propose a series of guidelines with regard to marine debris shoreline sampling metrics, indicators, methods, and target goals in the NPO in order to improve comparability and repeatability. These follow the basic tenets of environmental survey design, which when not accounted for, can limit the applicability and value of large-scale shoreline monitoring efforts.
초록
체계화된 모니터링 조사를 강화하는 것은 해안가에 있는 해양 쓰레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해안선은 해양 쓰레기의 싱크를 보여주지만, 쓰레기를 수량화 하려는 노력은 연구 반복성, 비교 가능성을 보장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핵심 변수와 조사 설계 기술을 포착하고 보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해양 표면과 해안선에 좌초된 해양 쓰레기의 종류와 다양성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입증된 북태평양(NPO) 접경 국가의 해안선에 대한 해양 쓰레기 분포 및 종류에 관한 이용 가능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합니다. 북태평양의 해안선 잔해를 기록한 81편의 논문 대부분이 1년 미만의 연구(76.5%)였다. 또한 대부분의 샘플링 사이트는 한 번만 방문했습니다(57.3%). 정확한 사이트 위치(GPS 좌표)는 평가된 연구의 44.4%에서만 제공되었습니다. 쓰레기 양은 9가지 다른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보고되었으며, 면적당 품목 수와 질량당 품목 수는 각각 매크로 및 미세 플라스틱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종합하면, 대부분의 검토된 연구는 제공된 정보가 주어지면 다른 사람들이 반복해 볼 수 없습니다. 우리는 비교 가능성과 반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북태평양에서 해양 쓰레기 해안선 샘플링, 지표, 방법 및 목표 목표와 관련된 일련의 지침을 제안합니다. 이는 환경 조사 설계의 기본 원칙을 따르며,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대규모 해안선 모니터링 노력의 적용 가능성과 가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https://doi.org/10.1016/j.envpol.2022.119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