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a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seawater plastic pollution in the north Pacific Ocean
: Review and global comparison
북태평양 해수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검토와 비교연구
Won Joon Shim*, Seung-Kyu Kim, Jongsu Lee, Soeun Eo, Ji-Su Kim, Chengjun Sun
ABSTRACT
Keywords: Marine debris, Floating plastic, Plastic pollution, Microplastic, Macroplastic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meta-data analysis, monitoring methods and contamination levels of marine micro- and macroplastics in seawater were compared between the North Pacific and the world’s other ocean basins. The minimum cut-off size in sampling and/or analysis of microplastics was crucial to the comparison of monitoring data. The North Pacific was most actively monitored for microplastics and showed comparatively high levels in the global context, while the Mediterranean Sea was most frequently monitored for macroplastics. Of the 65 extracted mean abundances of microplastics in seawater from the North Pacific, two (3.1%) exceeded the lowest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 proposed thus far. However, in the context of business-as- usual conditions, the PNEC exceedance probability may be expected to reach 27.7% in the North Pacific in 2100. The abundance of marine plastics in seawater, which reflects the current pollution status and marine organisms’ waterborne exposure levels, is a useful indicator for marine plastic pollution. For regional and global assessments of pollution status across space and time, as well as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two microplastic monitoring approaches are recommended along with their key aspects. Although microplastic pollution is closely linked with macroplastics, the monitoring data available for floating macroplastics and more extent to mesoplastics in most ocean basins are limited. A more specific framework for visual macroplastic survey (e.g. fixed minimum cut-off size, along with survey transect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survey vessel class) is required to facilitate data comparis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ised methods, increased efforts are required to gather moni- toring data for microplastics and—more importantly—floating macroplastics in seawater worldwide.
초록
키워드: 해양쓰레기, 부유 플라스틱, 플라스틱 오염, 미세 플라스틱, 매크로 플라스틱
문헌조사와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북태평양과 세계 다른 해양분지 사이에서 해수 내 해양 미세플라스틱 및 매크로플라스틱의 모니터링 방법 및 오염도를 비교하였다. 미세플라스틱 샘플링 또는 분석을 위한 미세플라스틱의 최소 크기는 모니터링 데이터 비교를 위해 중요합니다. 북태평양은 미세 플라스틱이 가장 적극적으로 모니터링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지중해에서는 매크로 플라스틱이 가장 자주 모니터링 되었습니다. 북태평양 해수에서 추출된 65개의 평균 미세플라스틱 농도 중 2개(3.1%)가 지금까지 제안된 최저 예측 무영향 농도(PNEC)를 초과했습니다. 그러나 평상시와 같은 상황에서 PNEC 초과 확률은 2100년에 북태평양에서 27.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출 수준은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유용한 지표입니다. 공간과 시간에 따른 오염 상태에 대한 지역적 및 세계적 평가와 생태학적 위험 평가를 위해 두 가지 미세 플라스틱 모니터링 접근 방식이 주요 측면과 함께 권장됩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매크로플라스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해양 유역에서 떠다니는 매크로플라스틱과 더 넓은 범위의 메조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제한적입니다. 눈으로 보이는 매크로플라스틱 조사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프레임워크(예: 고정된 최소 크기, 조사 선박 등급에 따른 조사 횡단 폭 및 길이)는 데이터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표준화된 방법의 구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해수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과 부유 매크로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합니다.
원문 보기
https://doi.org/10.1016/j.envpol.2022.119911
Toward a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seawater plastic pollution in the north Pacific Ocean
: Review and global comparison
북태평양 해수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검토와 비교연구
Won Joon Shim*, Seung-Kyu Kim, Jongsu Lee, Soeun Eo, Ji-Su Kim, Chengjun Sun
ABSTRACT
Keywords: Marine debris, Floating plastic, Plastic pollution, Microplastic, Macroplastic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meta-data analysis, monitoring methods and contamination levels of marine micro- and macroplastics in seawater were compared between the North Pacific and the world’s other ocean basins. The minimum cut-off size in sampling and/or analysis of microplastics was crucial to the comparison of monitoring data. The North Pacific was most actively monitored for microplastics and showed comparatively high levels in the global context, while the Mediterranean Sea was most frequently monitored for macroplastics. Of the 65 extracted mean abundances of microplastics in seawater from the North Pacific, two (3.1%) exceeded the lowest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 proposed thus far. However, in the context of business-as- usual conditions, the PNEC exceedance probability may be expected to reach 27.7% in the North Pacific in 2100. The abundance of marine plastics in seawater, which reflects the current pollution status and marine organisms’ waterborne exposure levels, is a useful indicator for marine plastic pollution. For regional and global assessments of pollution status across space and time, as well as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two microplastic monitoring approaches are recommended along with their key aspects. Although microplastic pollution is closely linked with macroplastics, the monitoring data available for floating macroplastics and more extent to mesoplastics in most ocean basins are limited. A more specific framework for visual macroplastic survey (e.g. fixed minimum cut-off size, along with survey transect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survey vessel class) is required to facilitate data comparis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ised methods, increased efforts are required to gather moni- toring data for microplastics and—more importantly—floating macroplastics in seawater worldwide.
초록
키워드: 해양쓰레기, 부유 플라스틱, 플라스틱 오염, 미세 플라스틱, 매크로 플라스틱
문헌조사와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북태평양과 세계 다른 해양분지 사이에서 해수 내 해양 미세플라스틱 및 매크로플라스틱의 모니터링 방법 및 오염도를 비교하였다. 미세플라스틱 샘플링 또는 분석을 위한 미세플라스틱의 최소 크기는 모니터링 데이터 비교를 위해 중요합니다. 북태평양은 미세 플라스틱이 가장 적극적으로 모니터링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지중해에서는 매크로 플라스틱이 가장 자주 모니터링 되었습니다. 북태평양 해수에서 추출된 65개의 평균 미세플라스틱 농도 중 2개(3.1%)가 지금까지 제안된 최저 예측 무영향 농도(PNEC)를 초과했습니다. 그러나 평상시와 같은 상황에서 PNEC 초과 확률은 2100년에 북태평양에서 27.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출 수준은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유용한 지표입니다. 공간과 시간에 따른 오염 상태에 대한 지역적 및 세계적 평가와 생태학적 위험 평가를 위해 두 가지 미세 플라스틱 모니터링 접근 방식이 주요 측면과 함께 권장됩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매크로플라스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해양 유역에서 떠다니는 매크로플라스틱과 더 넓은 범위의 메조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제한적입니다. 눈으로 보이는 매크로플라스틱 조사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프레임워크(예: 고정된 최소 크기, 조사 선박 등급에 따른 조사 횡단 폭 및 길이)는 데이터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표준화된 방법의 구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해수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과 부유 매크로플라스틱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합니다.
원문 보기
https://doi.org/10.1016/j.envpol.2022.119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