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46회 오션 세미나
시민과학이 밝혀낸 유령어구의 위험성과 해양 생태계 영향
이민성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국제협력팀 연구원
원문: Thorbjørnsen et al. (2023). Hazard and Catch Composition of Ghost Fishing Gear Revealed by a Citizen Science Clean-up Initiative. Marine Policy, 148, 105431.
바닷속 보이지 않는 덫, 유령어구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바다는 푸르고 평온한 공간이지만, 그 깊은 곳에는 보이지 않는 덫이 가득하다. 유실되거나 버려진 유령어구(Ghost Gear) 는 지속해서 바다 속 생명들을 위협한다. 한 번 걸려든 생물은 탈출하지 못한 채 서서히 죽어가고, 그 사체는 새로운 생물들을 유인하며 끝없는 희생을 만든다.
결국, 이 끔찍한 악순환은 해양생태계를 훼손하고, 수산자원의 감소로 인간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오션 제546회 국제 세미나에서는 “시민과학이 밝혀낸 유령어구의 위험성과 해양 생태계 영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시민과학이 폐어구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민과학을 활용하여 유령어구의 실태를 조사하고, 어떤 유형의 폐어구가 해양 생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지 분석했다.
시민과학, 해양생태계 문제를 직접 밝히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노르웨이 다이빙 협회 소속 다이버의 자원활동으로 수집되었다. 이들은 침적 폐어구를 찾아 사진과 데이터로 기록했다. 덕분에 폐어구의 종류, 위치, 그리고 그로 인한 생물 피해 등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었다.이번 연구를 통해 시민과학자들은 5년간 총 12,101개의 폐어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GPS 기반 보고 시스템을 통해 어구의 위치를 정확히 기록함으로써 정책적 활용도 또한한 높였다.
이는 시민과학이 기존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을 넘어 침적 폐어구 문제 해결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기존 연구자들이 수행하기 어려운 대규모 데이터 수집이 시민과학을 통해 가능해졌으며, 이는 향후 해양 환경 정책 수립과 폐어구 관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사)오션 이종명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시민과학이 기존의 제한된 조사 방식을 넘어, 광범위하고 정교한 폐어구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특히 "오션의 시민과학 프로그램인 '바다기사단'에서 수중 생물 피해를 기록하는 '아쿠아나이츠' 프로그램에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록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런 연구 결과는 폐어구 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546회 오션 세미나
시민과학이 밝혀낸 유령어구의 위험성과 해양 생태계 영향
이민성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국제협력팀 연구원
원문: Thorbjørnsen et al. (2023). Hazard and Catch Composition of Ghost Fishing Gear Revealed by a Citizen Science Clean-up Initiative. Marine Policy, 148, 105431.
바닷속 보이지 않는 덫, 유령어구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바다는 푸르고 평온한 공간이지만, 그 깊은 곳에는 보이지 않는 덫이 가득하다. 유실되거나 버려진 유령어구(Ghost Gear) 는 지속해서 바다 속 생명들을 위협한다. 한 번 걸려든 생물은 탈출하지 못한 채 서서히 죽어가고, 그 사체는 새로운 생물들을 유인하며 끝없는 희생을 만든다.
결국, 이 끔찍한 악순환은 해양생태계를 훼손하고, 수산자원의 감소로 인간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오션 제546회 국제 세미나에서는 “시민과학이 밝혀낸 유령어구의 위험성과 해양 생태계 영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시민과학이 폐어구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민과학을 활용하여 유령어구의 실태를 조사하고, 어떤 유형의 폐어구가 해양 생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지 분석했다.
시민과학, 해양생태계 문제를 직접 밝히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노르웨이 다이빙 협회 소속 다이버의 자원활동으로 수집되었다. 이들은 침적 폐어구를 찾아 사진과 데이터로 기록했다. 덕분에 폐어구의 종류, 위치, 그리고 그로 인한 생물 피해 등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었다.이번 연구를 통해 시민과학자들은 5년간 총 12,101개의 폐어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GPS 기반 보고 시스템을 통해 어구의 위치를 정확히 기록함으로써 정책적 활용도 또한한 높였다.
이는 시민과학이 기존의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을 넘어 침적 폐어구 문제 해결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기존 연구자들이 수행하기 어려운 대규모 데이터 수집이 시민과학을 통해 가능해졌으며, 이는 향후 해양 환경 정책 수립과 폐어구 관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사)오션 이종명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시민과학이 기존의 제한된 조사 방식을 넘어, 광범위하고 정교한 폐어구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특히 "오션의 시민과학 프로그램인 '바다기사단'에서 수중 생물 피해를 기록하는 '아쿠아나이츠' 프로그램에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록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런 연구 결과는 폐어구 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