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대형쓰레기의 해양유입량 추정 방법
정호승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연구원
hodorio@osean.net
이 논문은 제330회 오션 정기세미나에서 공부한 것으로
베트남의 사이공 강으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매크로플라스틱의 특성과 유입량에 관한 추정방법과 조사결과를 서술하고 있다.
<원문>
Tim van Emmerik, Thuy-Chung Kieu-Le, Michelle Loozen, Kees van Oeveren, Emilie Strady, Xuan-Thanh Bui, Matthias Egger, Johnny Gasperi, Laurent Lebreton, Phuoc-Dan Nguyen, Anna Schwarz, Boyan Slat and Bruno Tassin, 2018. Methodology to Characterize Riverine Macroplastic Emission Into the Ocean, Front. Mar. Sci., 17 October 2018, https://doi.org/10.3389/fmars.2018.00372
<요약>
육상기인 매크로플라스틱은 해양쓰레기의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강으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추측하는 것은 주로 표준화된 관측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하고 부족한 상태다. 전 세계적 플라스틱 양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강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의 양과 조성에 관한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세부 정보가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매크로플라스틱 역동성을 특성화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된 방법은 베트남 사이공 강에서 나온 플라스틱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2주간의 기간 동안, 플라스틱 이동의 시간당 횡단면 프로파일은 강 폭을 가로질러 이루어졌었다. 동시에, 매크로플라스틱(>5cm)의 무게, 크기 및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당 샘플을 취득했었다. 결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역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찰에 대한 추정은 매일, 월간 및 연간 바다로 유입되는 매크로플라스틱 방출량의 새로운 추정치를 산출했었다. 우리의 결과는 사이공 강에서 나온 플라스틱 배출량이 이전에 추정했던 것보다 최대 4 배나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중요하게도, 우리의 유연한 이 방법론은 지역적 수역학적 상황 및 데이터 가용성에 적용할 수 있어서 전 세계 강에서의 매크로플라스틱 역학의 일관된 특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중재 및 재활용 노력의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주요 내용>
이 연구는 2018 년 2 월 28 일부터 3 월 13 일까지의 07:00에서 17:00 사이 현장에서 실시 된 측정을 토대로 하천 매크로플라스틱의 양 및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다. 정지된 다리에 장착된 트롤(bridge- mounted trawls)과 떠다니는 쓰레기 파편의 시각적 개수 계산을 사용하였고 매일 시간별 샘플을 채취했다. 트롤로 채취된 샘플은 무게와 성분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플라스틱 샘플링은 사이공 강의 Thu Thiem 교량에 높이 70cm, 너비 100cm의 트롤을 고정 • 장착하여 수행하였으며 트롤 그물의 크기는 4cm 이었다. 플라스틱의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2018년의 강 배출량 자료가 아직 유효하지 않아, 2013년의 배출량 결과와 조수 결과를 사용하여 추정했다. 측정결과로 교량 기둥과 가깝게 높은 플라스틱 농도가 발견되었는데 기둥이 만들어내는 맴돌이의 포집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하천 기슭 가까이에서도 플라스틱이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변화하는 조수의 영향과 함께 강물의 곡률 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총 660kg의 양이 측정 조사기간 동안 샘플링 되었으며, 그 중 7.6 %가 플라스틱, 90.7 %는 유기물, 1.7 %는 나머지 잔해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유기 물질은 수생 식물(water hyacinths)로 구성되어 있었다. 우기에 특히 유기 물질과 플라스틱 물질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지 조사되지는 않았지만 높아지리라 예상하고 있다.
샘플링 된 모든 플라스틱 조각 614의 품목 식별을 한 결과로는 확인 된 조각의 대부분은 소모품 (음식 및 음료)과 관련이 있었으며 폴리스틸렌 재질의 발포 식품 용기 및 파편 (614 개 중 224 개)이 높게 나타내었다. 크기를 조사한 결과로는 10-50cm의 플라스틱류가 주류을 이뤄졌으며, 재질로는 폴리올레핀류(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와 폴리스틸렌류가 많았다. PET류는 전체 질량의 7%, 전체 개수의 2%로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통계적 외삽으로 측정한 결과, 사이공 강으로부터의 연간 배출량은 7.5x103 – 13.7x103 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모든 베트남 하천의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 추정치의 10-20 %이었으며, 2018 년 3 월 사이공 강으로부터의 예상되는 플라스틱 배출은 Lebreton et al.에 의한 추정보다 최대 4 배 (상한 및 하한에 비해 2 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의견>
본 논문은 해양으로 유입되는 강 또는 하천쓰레기의 양을 기존의 유추법과 달리 현장에서 관측하고 조사하여 추정하고 있다. 강하천의 지역적 특성과 수문학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려고 했다. 하지만 일부 방법적인 면에서 좀 더 세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언급하였듯이 부유쓰레기를 조사하는 관측자의 오류를 보완할 관측자의 카운팅 시간적 간격과 철저한 사전교육과 드론, 사진촬영, 동영상 촬영 등과 같은 다른 측정방법도 고려할만하리라 예상된다.
하천 대형쓰레기의 해양유입량 추정 방법
정호승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연구원
hodorio@osean.net
이 논문은 제330회 오션 정기세미나에서 공부한 것으로
베트남의 사이공 강으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매크로플라스틱의 특성과 유입량에 관한 추정방법과 조사결과를 서술하고 있다.
<원문>
Tim van Emmerik, Thuy-Chung Kieu-Le, Michelle Loozen, Kees van Oeveren, Emilie Strady, Xuan-Thanh Bui, Matthias Egger, Johnny Gasperi, Laurent Lebreton, Phuoc-Dan Nguyen, Anna Schwarz, Boyan Slat and Bruno Tassin, 2018. Methodology to Characterize Riverine Macroplastic Emission Into the Ocean, Front. Mar. Sci., 17 October 2018, https://doi.org/10.3389/fmars.2018.00372
<요약>
육상기인 매크로플라스틱은 해양쓰레기의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강으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추측하는 것은 주로 표준화된 관측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하고 부족한 상태다. 전 세계적 플라스틱 양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강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의 양과 조성에 관한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세부 정보가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매크로플라스틱 역동성을 특성화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된 방법은 베트남 사이공 강에서 나온 플라스틱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2주간의 기간 동안, 플라스틱 이동의 시간당 횡단면 프로파일은 강 폭을 가로질러 이루어졌었다. 동시에, 매크로플라스틱(>5cm)의 무게, 크기 및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당 샘플을 취득했었다. 결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역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찰에 대한 추정은 매일, 월간 및 연간 바다로 유입되는 매크로플라스틱 방출량의 새로운 추정치를 산출했었다. 우리의 결과는 사이공 강에서 나온 플라스틱 배출량이 이전에 추정했던 것보다 최대 4 배나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중요하게도, 우리의 유연한 이 방법론은 지역적 수역학적 상황 및 데이터 가용성에 적용할 수 있어서 전 세계 강에서의 매크로플라스틱 역학의 일관된 특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중재 및 재활용 노력의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주요 내용>
이 연구는 2018 년 2 월 28 일부터 3 월 13 일까지의 07:00에서 17:00 사이 현장에서 실시 된 측정을 토대로 하천 매크로플라스틱의 양 및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다. 정지된 다리에 장착된 트롤(bridge- mounted trawls)과 떠다니는 쓰레기 파편의 시각적 개수 계산을 사용하였고 매일 시간별 샘플을 채취했다. 트롤로 채취된 샘플은 무게와 성분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플라스틱 샘플링은 사이공 강의 Thu Thiem 교량에 높이 70cm, 너비 100cm의 트롤을 고정 • 장착하여 수행하였으며 트롤 그물의 크기는 4cm 이었다. 플라스틱의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2018년의 강 배출량 자료가 아직 유효하지 않아, 2013년의 배출량 결과와 조수 결과를 사용하여 추정했다. 측정결과로 교량 기둥과 가깝게 높은 플라스틱 농도가 발견되었는데 기둥이 만들어내는 맴돌이의 포집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하천 기슭 가까이에서도 플라스틱이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변화하는 조수의 영향과 함께 강물의 곡률 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총 660kg의 양이 측정 조사기간 동안 샘플링 되었으며, 그 중 7.6 %가 플라스틱, 90.7 %는 유기물, 1.7 %는 나머지 잔해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유기 물질은 수생 식물(water hyacinths)로 구성되어 있었다. 우기에 특히 유기 물질과 플라스틱 물질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지 조사되지는 않았지만 높아지리라 예상하고 있다.
샘플링 된 모든 플라스틱 조각 614의 품목 식별을 한 결과로는 확인 된 조각의 대부분은 소모품 (음식 및 음료)과 관련이 있었으며 폴리스틸렌 재질의 발포 식품 용기 및 파편 (614 개 중 224 개)이 높게 나타내었다. 크기를 조사한 결과로는 10-50cm의 플라스틱류가 주류을 이뤄졌으며, 재질로는 폴리올레핀류(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와 폴리스틸렌류가 많았다. PET류는 전체 질량의 7%, 전체 개수의 2%로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통계적 외삽으로 측정한 결과, 사이공 강으로부터의 연간 배출량은 7.5x103 – 13.7x103 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모든 베트남 하천의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 추정치의 10-20 %이었으며, 2018 년 3 월 사이공 강으로부터의 예상되는 플라스틱 배출은 Lebreton et al.에 의한 추정보다 최대 4 배 (상한 및 하한에 비해 2 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의견>
본 논문은 해양으로 유입되는 강 또는 하천쓰레기의 양을 기존의 유추법과 달리 현장에서 관측하고 조사하여 추정하고 있다. 강하천의 지역적 특성과 수문학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려고 했다. 하지만 일부 방법적인 면에서 좀 더 세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언급하였듯이 부유쓰레기를 조사하는 관측자의 오류를 보완할 관측자의 카운팅 시간적 간격과 철저한 사전교육과 드론, 사진촬영, 동영상 촬영 등과 같은 다른 측정방법도 고려할만하리라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