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연구

세미나

Seminar

오션의 가장 값진 자산은 2010년부터 꾸준히 진행한 세미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해양쓰레기와 관련된 연구성과, 정책 등의 자료를 스터디하고 국내/국제 동향을 파악해 우리만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보다 많은 이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세미나 내용을 요약하여 공개합니다.

세미나 녹화 영상도 유튜브(OSEAN오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논문요청 : osean@osean.net
* 이 자료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제338회 세미나: 인도네시아의 해양쓰레기: 연구와 현 상황에 대한 검토

2019-07-23
인도네시아의 해양쓰레기: 연구와 현 상황에 대한 검토


김지혜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방문연구원
jhkim@osean.net

 



오션 제338회 정기 세미나에서는 ‘인도네시아의 해양쓰레기: 연구와 현 상황에 대한 검토’라는 논문을 다뤘다.


<원문>
Noir P. Purbaa, Dannisa I.W. Handymana, Tri D. Pribadib, Agung D. Syaktic, Widodo S. Pranowod, Andrew Harveye, Yudi N. Ihsana, Marine debris in Indonesia: A review of research and statu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ume 146, 2019, Pages 134-144,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05.057


<요약문 번역>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해양 플라스틱쓰레기 배출국가 중 하나로 국가 해양쓰레기 행동 계획을 설립하여 2025년까지 70% 수준으로 해양 플라스틱쓰레기를 줄일 것을 약속하였다. 해양-대기 순환, 연안 지역 고밀도 인구, 해양 행위로 인하여 이동과 축적의 결과로 나타난 많은 해양 플라스틱쓰레기는 인도네시아 내의 복잡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미 출간된 인도네시아 내의 해양쓰레기 관련 출판물들 간에는 차이가 있다. 해양 쓰레기는 어디에나 존재하며, 월경성이고, 해양환경에서 발견되며, 무인도를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해류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므로 연구자들은 생태계, 보건, 경제적 손실에 대한 해양 쓰레기의 영향에 대해 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토의한 내용>
1. 아직 부족한 인도네시아 해양 쓰레기 연구
이 연구는 1986년부터 출간된 인도네시아 해양 쓰레기 문헌 37편을 분석하여 리뷰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지적하듯이 현재 인도네시아 해양 쓰레기 연구는 분포와 구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 자바 섬을 중심으로 조사되었고, 연안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여 대양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환경과학과 환경관리의 측면에서 집중 조사되어 정책적인 분석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부족함은 인도네시아 해양 쓰레기 관리 개선을 위해서 향후 정밀한 조사와 원인 분석, 해양쓰레기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2. 해양쓰레기 구성의 변화
1986년 Willoughby의 논문에서는 비닐 봉지, 신발류, 폴리스티렌 블록이 가장 빈도가 높은 쓰레기(합 90%)였으나, 그 후로 10년 뒤 일회용 기저귀가 쓰레기 품목으로 등장하고, 위 세 쓰레기 항목의 빈도가 줄어들었다(합 80%). 다시 10년 뒤 2018년 월드뱅크는 해양쓰레기 중 기저귀가 21%를 차지한다고 분석하여 해양쓰레기 구성이 점차 바뀌고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이는 인도네시아 거주민들의 생활스타일이 바뀌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3. 해양쓰레기 원인 분석과 효과
구체적으로 추정된 해양쓰레기 양은 없으나, 육상기인, 해상기인의 쓰레기가 모두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월경성 해양쓰레기 역시 해류를 통해 유입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 해양쓰레기로 인한 부정적인 심미 효과, 항해에서의 영향, 해양생물의 얽힘과 섭식으로 인한 피해, 보건 영향 등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으며 특히 해양생물의 쓰레기 섭식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가 소개되었다.


4. 인도네시아 정책
인도네시아의 정책은 주로 가정 쓰레기 관리를 개선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대중교육, 육상/해상 쓰레기 누출 감소, 인센티브 제도 마련, 연구개발 강화를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니정부는 비정부기구와 협업할 것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은 국제적인 협력도 강조하고 있다.


5. 논문의 오류
이 연구 논문에서는 국가 수준의 해양쓰레기 행동 계획이 인도네시아에서만 유일하게 존재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미 한국은 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이 논의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국가 수준의 해양쓰레기 행동 계획이 있음을 고려했을 때, 이 논문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선행연구가 충실하지 않아 중요한 내용이 누락되는 등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해양쓰레기 현황을 종합해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