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쓰레기의 일시적 저장소 역할을 하는 마닐라만 하구
필리핀 수도 마닐라의 3개 하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조석에 따라
플라스틱의 이동량이 달라짐을 밝힘
이종명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부설 한국해양쓰레기연구소장
2021년 10월 19일 제425회 오션 세미나에서는
‘대형쓰레기의 일시적 저장소 역할을 하는 마닐라만 하구’이라는 논문을 다뤘다.
<원문>
Tim van Emmerik, Justin van Klaveren, Lourens J. J. Meijer, Joost W. Krooshof, Dixie Ann A. Palmos, Maria Antonia Tanchuling, 2020. Manila River Mouths Act as Temporary Sinks for Macroplastic Pollution, Front. Mar. Sci., https://doi.org/10.3389/fmars.2020.545812
<요약문 번역>
필리핀은 전 세계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주요 기여자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다. 마닐라 대도시 지역의 여러 강은 육상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유입되는 주요 경로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 추정치는 현장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한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마닐라의 주요 강인 Meycauayan, Tullahan 및 Pasig에서 부유 대형 플라스틱 플럭스와 플라스틱 종류에 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우리는 11일 동안 강당 두 위치에서 플라스틱 플럭스, 항목 플라스틱 범주 및 유속을 측정했다. 각 강은 강 하구와 수 킬로미터 상류에서 측정되었다. 결과는 3개의 강 입구에서 상류 및 하류 흐름 방향의 플라스틱 플럭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Meycauayan 및 Pasig 강은 상류 위치에 비해 강 하구에서 상당히 높은 플라스틱 플럭스를 가지고 있다. 관찰 결과, 담수 배출량이 적은 기간 동안 강 하구에 대형 플라스틱이 축적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경우, 시간당 플라스틱 플럭스는 주로 조석 역학에 의해 결정된다. 플라스틱은 일시적으로 강어귀에 남아 있다가 썰물 때나 강 유출량이 증가할 때 쓸려나갈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강어귀의 보유 능력으로 인해 해양으로의 순 플라스틱 유출량은 추정할 수 없다. 강변 대형 플라스틱의 수송 및 순유출에 대한 조석 역학의 역할을 추가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육상 및 해상 조율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 메커니즘을 확립해야 한다.
<토의한 내용>
1. 주요 하천 플라스틱 유출 국가로서 필리핀
본 연구의 대상지가 된 필리핀의 마닐라만은 필리핀의 수도인 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높은 인구 밀도와 도시화 등으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으로 유입될 소지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추정된 수치를 보면, 필리핀은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의 해양 유입 전세계 1위 국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된 3개의 하천이 유출량 1위, 2위, 4위를 차지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주로 비닐봉지와 과자봉지 같은 포장재 쓰레기였는데, 일부 강에서는 수산물 박스로 사용되는 스티로폼도 많이 발견되었다. 육상의 도시 고형폐기물 관리 뿐만 하니라 수산업 등 해상기인 쓰레기 관리의 개선도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2.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 해양 유입에 관한 연구 동향
이 연구에서는 마닐라의 3개 주요 하천의 다리를 건너가면서 일정 구간에서 관찰되는 플라스틱의 양과 종류를 조사했다. 소수의 훈련된 인원이 다리 위를 옮겨다니면서 조사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조사의 일관성을 유지하기에는 좋은 방법이다. 다수의 하천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여러 정점에 많은 인원을 투입하여 조사하는 방법은 안정적으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의 주저자들은 태평양 환류대의 플라스틱을 자연의 힘으로 제거하겠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The Ocean Cleaup’ 소속이다. 태평양 보다는 동남아시아의 하천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고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 유입 특성 조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모델에 기반하여 하천 플라스틱 해양유입량을 추정하여 발표한 이후, 전세계의 주요 하천으로 현장 조사 범위를 넓혀 가며서 갱신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발견된 것처럼 개방형 하구의 경우 밀물과 썰물에 따라 쓰레기가 하천과 바다 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유출량을 추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하천의 형태에 따른 쓰레기의 움직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형쓰레기의 일시적 저장소 역할을 하는 마닐라만 하구
필리핀 수도 마닐라의 3개 하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조석에 따라
플라스틱의 이동량이 달라짐을 밝힘
이종명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부설 한국해양쓰레기연구소장
jmlee@osean.net
2021년 10월 19일 제425회 오션 세미나에서는
‘대형쓰레기의 일시적 저장소 역할을 하는 마닐라만 하구’이라는 논문을 다뤘다.
<원문>
Tim van Emmerik, Justin van Klaveren, Lourens J. J. Meijer, Joost W. Krooshof, Dixie Ann A. Palmos, Maria Antonia Tanchuling, 2020. Manila River Mouths Act as Temporary Sinks for Macroplastic Pollution, Front. Mar. Sci., https://doi.org/10.3389/fmars.2020.545812
<요약문 번역>
필리핀은 전 세계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주요 기여자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다. 마닐라 대도시 지역의 여러 강은 육상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유입되는 주요 경로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 추정치는 현장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한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마닐라의 주요 강인 Meycauayan, Tullahan 및 Pasig에서 부유 대형 플라스틱 플럭스와 플라스틱 종류에 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우리는 11일 동안 강당 두 위치에서 플라스틱 플럭스, 항목 플라스틱 범주 및 유속을 측정했다. 각 강은 강 하구와 수 킬로미터 상류에서 측정되었다. 결과는 3개의 강 입구에서 상류 및 하류 흐름 방향의 플라스틱 플럭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Meycauayan 및 Pasig 강은 상류 위치에 비해 강 하구에서 상당히 높은 플라스틱 플럭스를 가지고 있다. 관찰 결과, 담수 배출량이 적은 기간 동안 강 하구에 대형 플라스틱이 축적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경우, 시간당 플라스틱 플럭스는 주로 조석 역학에 의해 결정된다. 플라스틱은 일시적으로 강어귀에 남아 있다가 썰물 때나 강 유출량이 증가할 때 쓸려나갈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강어귀의 보유 능력으로 인해 해양으로의 순 플라스틱 유출량은 추정할 수 없다. 강변 대형 플라스틱의 수송 및 순유출에 대한 조석 역학의 역할을 추가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육상 및 해상 조율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 메커니즘을 확립해야 한다.
<토의한 내용>
1. 주요 하천 플라스틱 유출 국가로서 필리핀
본 연구의 대상지가 된 필리핀의 마닐라만은 필리핀의 수도인 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높은 인구 밀도와 도시화 등으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으로 유입될 소지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추정된 수치를 보면, 필리핀은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의 해양 유입 전세계 1위 국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된 3개의 하천이 유출량 1위, 2위, 4위를 차지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주로 비닐봉지와 과자봉지 같은 포장재 쓰레기였는데, 일부 강에서는 수산물 박스로 사용되는 스티로폼도 많이 발견되었다. 육상의 도시 고형폐기물 관리 뿐만 하니라 수산업 등 해상기인 쓰레기 관리의 개선도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2.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 해양 유입에 관한 연구 동향
이 연구에서는 마닐라의 3개 주요 하천의 다리를 건너가면서 일정 구간에서 관찰되는 플라스틱의 양과 종류를 조사했다. 소수의 훈련된 인원이 다리 위를 옮겨다니면서 조사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조사의 일관성을 유지하기에는 좋은 방법이다. 다수의 하천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여러 정점에 많은 인원을 투입하여 조사하는 방법은 안정적으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의 주저자들은 태평양 환류대의 플라스틱을 자연의 힘으로 제거하겠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The Ocean Cleaup’ 소속이다. 태평양 보다는 동남아시아의 하천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고 하천을 통한 플라스틱 유입 특성 조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모델에 기반하여 하천 플라스틱 해양유입량을 추정하여 발표한 이후, 전세계의 주요 하천으로 현장 조사 범위를 넓혀 가며서 갱신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발견된 것처럼 개방형 하구의 경우 밀물과 썰물에 따라 쓰레기가 하천과 바다 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유출량을 추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하천의 형태에 따른 쓰레기의 움직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